건축
-
강남 언덕 위 공동체 실험 — 타워 블록 하이브리드건축 사례 2025. 7. 15. 07:35
공동체를 설계하다, 'Design Masterpiece' 하우징 | van Dongen - Koschuch강남 언덕 위의 새로운 주거 실험서울 강남구 남단, 도시 중심에서 살짝 벗어난 언덕 위에는 1,500세대를 수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공주택 단지가 자리잡고 있다. 2010년, 한국토지주택공사(KLHC)는 18만㎡ 규모의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기존의 획일적 아파트 유형이 아닌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제시했다.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기존 서울의 주거 형태에서 보기 드문 '타워 블록 하이브리드(Tower Block Hybrid)'라는 도시 블록 구성이다. 단순히 고층 주거동을 나열하는 것이 아닌, 공공 도로와 사적 중정이 결합된 복합 커뮤니티를 지향했다. 타워 블록 하이브리드:..
-
발코니로 완성되는 도시의 풍경, 테트리스 빌딩 | 유현준 건축가건축 사례 2025. 7. 8. 08:14
모여서 완성되는 도시의 표정서울 서초동에 새롭게 세워진 ‘테트리스 빌딩’은 단순한 오피스 건물이 아니다. 서로 다른 형태의 발코니들이 쌓여 마치 테트리스 조각처럼 보이는 이 건축물은, 유현준 건축가가 설계한 사무소 건물이다. 그는 말한다. “건물의 표면일 뿐이지만, 발코니가 모이면 도시의 풍경이 완성됩니다.”테트리스 빌딩은 발코니를 단순한 부속 공간이 아닌, 도시와 인간의 소통 통로로 정의하며 발코니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발코니로 구성된 입면, 층간 소통의 도시적 실험이 건물의 입면은 8층부터 2층까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네 개의 발코니로 구성되어 있다. 발코니들은 마치 태극기의 4괘처럼 구성되어 각 층마다 미묘하게 위치가 달라지고, 이를 통해 각 발코니에서 서로를 조망하거나 시각적으..
-
🏙 YES IS MORE 상상을 현실로 바꾸는 건축– BIG (Bjarke Ingels Group)의 혁신적인 디자인 여정건축가 이야기 2025. 5. 30. 12:44
🏙 상상을 현실로 바꾸는 건축– BIG (Bjarke Ingels Group)의 혁신적인 디자인 여정 👤 건축가와 사무소 소개이름: 비야르케 잉겔스 (Bjarke Ingels)출생: 1974년, 덴마크 코펜하겐학력: 덴마크 왕립예술학교 건축학과사무소 설립: 2005년, BIG (Bjarke Ingels Group)지사: 코펜하겐, 뉴욕, 런던, 바르셀로나, 상하이키워드: 실험성, 지속 가능성, 유머, 도시 스케일 사고비야르케 잉겔스는 젊은 나이에 세계적인 건축가로 급부상했으며,BIG는 현재 건축, 도시설계, 인프라, 기술을 넘나드는가장 창의적인 설계 집단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BIG의 철학 – “Yes is More”와 쾌락적 지속 가능성BIG의 설계는 단순한 친환경을 넘어,..
-
🏛️ 건축의 노벨상, 2025 프리츠커상 수상자 류자쿤 및 역대 수상 건축가 목록과 건축 트랜드 한번에 살피기건축가 이야기 2025. 5. 26. 07:44
🏛️ 건축의 노벨상인 프리츠커상프리츠커상 수상자 연대기 (1979–2025)2025년도 수상자는 중국, 류자쿤에게 돌아갔다. 🏆 프리츠커상(Pritzker Architecture Prize)란?설립: 1979년, 하얏트 재단의의: 전 세계 건축가 중, 인류와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준 인물에게 수여별칭: “건축계의 노벨상”수상 기준: 창의성, 인문성, 시대정신, 지속가능성, 공동체 기여도 등 🏆 프리츠커상 수상자 연대기 (1979–2025)연도수상자국적주요 특징 2025류자쿤 (Liu Jiakun)중국지역성과 공동체 중심의 건축2024야마모토 리켄 (Riken Yamamoto) 일본공동체 중심의 주거 및 공공 건축2023데이비드 치퍼필드 (David Chipperfield)영국절제된 미..
-
“절제의 미학, 도시를 품다 –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건축 세계”건축가 이야기 2025. 5. 24. 12:13
👤 건축가 소개이름: 데이비드 앨런 치퍼필드 (Sir David Alan Chipperfield)출생: 1953년 12월 18일, 영국 런던학력: 킹스턴 스쿨 오브 아트, 건축협회 스쿨 오브 아키텍처 졸업사무소: David Chipperfield Architects (런던, 베를린, 밀라노, 상하이,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주요 수상: 프리츠커상(2023), RIBA 골드 메달(2011), 프레미엄 임페리얼상(2013) 등치퍼필드는 현대 건축에서 절제된 미니멀리즘과 역사적 맥락을 조화롭게 통합한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건축은 단순한 형태를 넘어, 공간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 건축 철학“건축은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존재의 감정이다.”– 데이..
-
🏛️ 공동체를 설계하는 건축가– 야마모토 리켄(Riken Yamamoto)건축가 이야기 2025. 5. 14. 11:52
👤 건축가 소개이름: 야마모토 리켄(Riken Yamamoto)출생: 1945년 4월 15일, 중국 베이징학력: 니혼대학 건축학과 졸업, 도쿄예술대학 대학원 예술연구과 수료주요 수상: 프리츠커상(2024)건축사무소: 야마모토리켄설계공장(Riken Yamamoto & Field Shop)야마모토 리켄은 공동체와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건축 철학을 바탕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주거 시설, 공공 건축물을 설계하였습니다. 🧠 건축 철학“공간을 인식하는 것은 공동체 전체를 인식하는 것이다.”– 야마모토 리켄야마모토 리켄의 건축 철학은 다음과 같습니다:공공성과 사적 영역의 경계 허물기: 공동체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성과 사적 영역의 경계를 허물고자 합니다.지역사회권 개념 제안: 공용공간의 중요성..
-
🏛️ 자연과의 조화– 쿠마 켄고 (Kengo Kuma)건축가 이야기 2025. 5. 10. 10:45
👤 건축가 소개이름: 쿠마 켄고(Kengo Kuma)출생: 1954년 8월 8일,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학력: 도쿄대학교 건축학과 졸업,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 수학주요 수상: 건축학회상(1997), 스피릿 오브 네이처 우드 아키텍처상(2002), 글로벌 지속가능 건축상(2016) 등건축사무소: Kengo Kuma & Associates쿠마 켄고는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건축 철학을 바탕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문화 시설, 상업 시설, 공공 건축물을 설계하였습니다. 🧠 건축 철학“건축은 자연과의 대화이며, 환경에 스며드는 존재여야 한다.”– 쿠마 켄고쿠마 켄고의 건축 철학은 다음과 같습니다:자연과의 조화: 건축물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의 일부로 존재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재료의 ..
-
🏛️ 기하학과 영혼의 건축가– 마리오 보타 (Mario Botta)건축가 이야기 2025. 5. 9. 11:01
👤 건축가 소개이름: 마리오 보타(Mario Botta)출생: 1943년 4월 1일, 스위스 멘드리시오학력: 베니스 건축대학교(IUAV) 졸업주요 수상: 그랑프리 국제 건축상(1995), 프리츠커상 후보 등건축사무소: Mario Botta Architetti마리오 보타는 기하학적 형태와 벽돌, 석재 등 전통적인 재료를 활용하여 현대적인 공간을 창조하는 건축가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종교 및 문화 시설을 설계하였습니다. 🧠 건축 철학“건축은 인간의 삶과 영혼을 담는 그릇이다.”– 마리오 보타마리오 보타의 건축 철학은 다음과 같습니다:기하학적 형태: 원, 정사각형, 삼각형 등 기본적인 형태를 통해 공간의 순수성을 추구합니다.재료의 진정성: 벽돌, 석재 등 전통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건축물에 시간성과 ..